강원 동해시에서 15일 발생한 규모 4.5의 해역지진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으나 배제할 수는 없다”고 진단했다.
동해시 지역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3회 발생한 것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와 주변 단층분포 및 원인 등이 다르므로 연관성은 낮지만 동해시 해역지진과의 시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상청은 지난 12일과 15일 두 차례에 걸쳐 ‘지진전문가 회의’를 개최해 최근 동해시 해역에서 지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인과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전문가 회의에는 장성준 강원대교수, 김광희·손문 부산대 교수, 홍태경 연세대 교수, 신동훈 전남대 교수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조창수 박사 등 6명이 참석했다.
동해시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지난 4월 23일부터 현재까지 36회 발생했는데, 15일 새벽 6시 27분에는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규모 4.5 지진은 이번 동해시 해역의 연속지진 중 가장 큰 규모로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발생했는데, 이번 지진으로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 진도 Ⅲ의 흔들림이 감지되었다.
이에 이번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동해시 해역지진이 과거 지진활동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며 역단층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해역지진의 분석은 오차가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과거 동해에서는 1996년 규모 4.2 지진과 2019년 규모 4.3 지진이 발생했는데, 전문가들은 동해해역 발생 지진에 대해 현재까지 관측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 지진사례 수준의 간헐적 지진 발생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정기간 연속지진으로 발생한 유사사례와 비교해 보면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으나 배제할 수는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동해시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3회 발생한 것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기상청은 현재 강원권과 동해 중부해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R&D 사업을 통해 동해 해역지진의 발생원인을 규명하고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동해시 해역지진으로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해당 지역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24시간 365일 지진 감시·통보체계 가동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가능성은 낮지만 더 큰 규모의 지진발생은 배제할 수 없으므로 유관기관 등 정부 부처에서는 낮은 가능성까지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co-Times 박래양 기자lypark9732@naver.com
<저작권자 ⓒ 생태환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